Archives

OCW

  1. main
  2. Archives
  3. OCW
미술론 입문이란 무엇인가 2012-12-28
Hits : 64910

※ 위의 자료는 kocw(www.kocw.net) 를 통해 제공됩니다.

* 제공기관: 서울대학교
* 교수자: 정수경
* 언어: 한국어
* 키워드: 미술론, 그림, 고대미술, 모방론, 정치학, 고전미술

차시
강의명 설명
1 미술론 입문이란 무엇인가? 감각은 그리 믿을만 하지 못하다.
동시대미술은 감각적 아름다움보다도 실천으로써 아름다움의 좋음을 추구하는 성격을 강하게 가지고 있다.
2 그림의 기원과 고대 모방론 1 판타스마 : 대상의 실제, 참을 희생하여 눈을 만족시키는 것
플라톤의 이데아 : 인간 감성을 초월한 진실적인 존재
3 그림의 기원과 고대 모방론 2 플로티누스가 이해하게 된 조각을 통해 조각행위에 대해 민중들에게 대의적으로 인정을 받게 되었다.
예술가는 직관으로 하였지만 그 직관이란 우리가 알고 있는 수적비례와 공명하였다.
4 모방론의 정치학 1 르네상스의 화가/조각가들은 미술이 이데아를 사용하는 것임을 입증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었다.
미술개념이 16세기 르네상스 시대에 생길 수 있게 되었다.
대표적인 인물로 레오나르도 다빈치를 꼽을 수 있다.
5 모방론의 정치학 2 신의 계획을 디자인이라고 여기게 되었음
디자인의 첫번째 의미 : 이데아
미술은 기본적으로 디자인 활동
최초의 미술개념 : 디자인은 이데아를 나타낸다는 개념을 통해서 건축, 회화, 조각을 아름다운 기술(미술)이라고 통칭하게 되었다.
6 모방론의 막 다른 지점 : (신)고전주의의 쇠퇴 1 회화/조각이 기술에서 미술로 인식의 변화가 되었다.
매너리즘은 단순한 쇠퇴가 아니라 다른가치를 지향함으로써 다른 그리기 방식을 선택한 것이다.
7 모방론의 막 다른 지점 : (신)고전주의의 쇠퇴 2 고전주의가 가지고 있던 이념성이 매너리즘으로 넘어간 후, 프랑스 신고전주의 학파가 다시금 고전주의를 재조명하기 시작했지만, 시대변화에 따라 부흥하지 못하고 고전주의는 무너지기 시작하였다.
8 사진의 등장과 인상주의 1 1862년, 사진의 예술성을 재판에 부치어 결국 사진이 예술로 인정 받게 된다.
사진이 미술을 따라함으로써 회화주의가 성행하게 된 이후, 미술의 정체성 문제가 논란이 됨
9 사진의 등장과 인상주의 2 모네의 루앙 대성당 연작과정을 통해 인상주의 기법이 발전해 나가게 되고 색들을 병치시켜 색의 혼합효과를 얻는 방식을 통해 시작적으로 아름다운 그림을 그리게 된다.
10 모방론으로부터의 이탈 1 반고흐는 지극히 사소한 사적인 의미를 그림에 담아내었지만 사람들의 마음을 울릴 수 있었던 것은 오히려 이데아가 아니라 반 고흐의 가슴 속에 있었던 고통, 불안, 슬픔과 같은 것들이 사람들의 마음을 더 울릴 수 있는 힘을 가질 수 있었다.
11 모방론으로부터의 이탈 2 고갱은 상징적인 색채를 사용함으로 인해서 인상주의가 잃어버렸다고 생각했던 의미, 정신적 깊이를 고흐와는 다른식으로 담아내었다.
세잔느가 선원근법의 단일시점을 포기한 시점으로부터 근대미술로부터의 결별이 시작되었다.
12 모더니즘 미술론 1 미술은 그 자체의 자율성을 주장하기 시작하면서 미술적 의미에 대해 찾기 시작했고 그 의미를 형식에서 찾게 되었다.
자본주의의 도래로 인해 화가들이 시장으로 내몰리게 되었고 더불어 그에 대한 반발로 유미주의 예술의 자율성을 주장하게 되었다.
13 모더니즘 미술론 2 1. 마네의 그림은 그 평면성으로 인하여 최초의 모더니즘 회화가 되었다.
2. 회화에서의 1차혁명인 <르네상스 원근법> 에서부터 회화가 이루고자 하는 회화의 자기 정체성을 감추고자 하는 것
14 아방가르드 미술론 1 대중적이면서도 정치적 함축을 담고 있는 팝아트가 라우센버그와 재스퍼존스를 통해 등장하면서 주목을 받기 시작함과 동시에 그들이 <뒤샹>을 언급하면서 뒤샹 또한 새로이 주목받게 되고, 이후 뒤샹은 1963년 회고록을 열게 된다.
15 아방가르드 미술론 2 1. 기존의 형식주의 미술론으로는 뒤샹의 <샘>과 같은 작품을 설명할 수 없다는 난관에 봉착.
2. 예술의 내재적 본질을 하나로 정할 수 없으므로 예쑬을 정의하는 것도 불가능하다는 예술정의불가론이 등장한다.




top